
동기(synchronous) 방식 어떠한 작업을 실행 했을 때 그 작업이 끝나고 반환 값을 받은 후에 다음 함수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만약 반환 값이 오지 않는다면 무한정 기다린다. (너 끝날때까지 아무것도 안할거야!) 그러니까 A 함수와 B 함수가 차례대로 들어온다면 A함수를 실행하고 반환(return) 값을 받은 후에 B함수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장점: 직관적이고 설계가 쉽다. 단점: 결과가 나올 때 까지는 아무것도 못한다. 비동기(Asynchronous) 방식 어떠한 작업을 실행만 하고 다음 함수를 실행 사는 방식으로 그러니까 A함수와 B함수가 차례대로 들어온다면 A함수를 실행하고(끝나든 말든) B함수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다만 비동기식 처리를 요청했던 것의 할일이 끝..

오버로딩(Overloding) 같은 이름의 메소드 또는 생성자로 입력 받은 매개변수의 타입과 갯수에 따라 다른 액션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OverLoding(int n){ System.out.println("int "+n); } OverLoding(String s){ System.out.println("String "+s); } 오버로딩(OverLoding)의 생성자다. 이름은도 같고 입력 받는 매개변수의 개수 또한 같다. 하지만 매개변수의 타입(int, String)이 다르기 때문에 오버로딩이 가능하다. OverLoding overloding2 = new OverLoding(2); OverLoding overloding3 = new OverLoding("Pigg"); 생성자이므로 객체를 생성할 때 ..

HTML 을 작성하다 보면 태그들이 서로 겹치는 경우가 있다. ex) default 이런 경우... HTML 에서는 나중에 배치된 것이 화면상에서 제일 위로 오게 되는데, 이때, z-index를 사용하여 뒤에 있는 태그를 끌어올릴 수 있다. 보라색을 맨위로 끌어보자 .base > div:nth-child(4){ width:100px; height: 100px; background-color:purple; position: absolute; border-radius: 50%; top: 90px; left: 150px; z-index: 1; } 다른 코드는 무시하고 맨 밑에 있는 z-index: 1; 에 주목하자. 이 옵션은 겹쳐질 경우 우선순위 레벨을 설정하여 배치된 순서에 상관없이 위로 끌어올릴 수 ..

SQL 오류 (1366) INSERT INTO 로 한글을 넣으려고 했으나, SQL 오류(1366) 에러가 발생했다. 이유는 Nickname 컬럼에 잘못된 문자열이 들어갔다며 한글을 인식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해결 방법 1. 데이터베이스의 CHARACTER , COLLATE 설정을 uft8로 변경 1-1. 데이터베이스 생성시 설정하기 CREATE DATABASE 데이타베이스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1-2 이미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설정하기 ALTER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이미 생성되어 있는 테이블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해당 쿼리를 실행 후..
배열은 자바에서 객체로 취급한다. 따라서 배열을 선언할 때 객체 처럼 new 키워드를 사용해여 생성한다. int[] stars = new int[10]; 일반적인 배열 선언 형식이고 마지막 [] 에는 배열의 크기를 넣는다. int stars[] = new int[10]; (이렇게 해도 상관 없다.) 만약 10을 넣었다면 stars 라는 배열은 stars[0], stars[1], stars[2] ...... stars[9] 로 구성 된다. (자리값은 항상 0부터 시작) 각각 배열의 값을 선언과 동시에 대입할 수도 있다. int[] stars = {10, 20, 30}; 이렇게 하면 int 타입의 3개의 자리를 가진 배열을 생성하면서 각각 값을 넣는다. 코드를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int[] star..

자바에서 this 키워드는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는 것임 무슨 뜻일까? | this animal 클래스는 인스턴스 변수로 name과 typ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성자에서 매개변수로 name과 type을 받고 있는데, 이때 인스턴스 변수 name과 type을 구별하기 위해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 this 키워드를 사용함으로써 this.name 은 인스턴스 변수를 지칭하고, name은 받은 매개변수 그대로 매개변수 name을 지칭하게 된다. 만약 매개변수 name 값으로 spell가 들어온다면, 아무 값도 없는 인스턴스 변수 name에 spell라는 값이 들어가게 된다. | this() Animal이라는 생성자는 2개 있다. 생성자 1에서 this()를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 타입은 크게 4종류가 있다.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과 실수형의 변수는 타입이 여러개가 있는데 변수의 역할은 다 똑같고 크기 할당량만 다를 뿐이다. 표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보통 정수형은 int를 실수형은 float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규모가 큰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면 32bit가 넘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각 데이터 별로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으려고 시도한다면 당연히 에러가 날 것이다. class Testblo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byte a = 128; } } 정수형 byte 는 -128 ~ 127 까지 ..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아스키 코드는 정해진 문자에 특정 코드가 부여되어 있는데 주 활용처는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문자에 대한 조건을 걸거나, 대소문자 구별을 하지 않게 한다거나, 임시비밀번호에 활용되는 랜덤한 코드 부여 등에 사용된다. 자바에서 활용을 한 예를 들자면(대소문자 구분)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Testblo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char a; a = scan.next().charAt(0); if(a>=65 && a=97 && a
- Total
- Today
- Yesterday
- 1366
- 재생id
- 탭복구
- 티스토리
- 자급제
- 크롬브라우저
- 직접유입
- 알뜰폰
- 방문자수
- ASCII Code Table
- 자식클래스
- 7일차
- 유튜브오류
- 과일꿈
- 부모클래스
- 아스키코드표
- 유튜브ID에러
- 방문기록
- 인터넷기록
- 크롬
- 도망가는꿈
- 자바
- LinkedList
- 애드블록
- 배열선언
- 우클릭 방지
- 한글인식
- 셀프개통
- 자급제폰
- 콜백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