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은 자바에서 객체로 취급한다. 따라서 배열을 선언할 때 객체 처럼 new 키워드를 사용해여 생성한다. int[] stars = new int[10]; 일반적인 배열 선언 형식이고 마지막 [] 에는 배열의 크기를 넣는다. int stars[] = new int[10]; (이렇게 해도 상관 없다.) 만약 10을 넣었다면 stars 라는 배열은 stars[0], stars[1], stars[2] ...... stars[9] 로 구성 된다. (자리값은 항상 0부터 시작) 각각 배열의 값을 선언과 동시에 대입할 수도 있다. int[] stars = {10, 20, 30}; 이렇게 하면 int 타입의 3개의 자리를 가진 배열을 생성하면서 각각 값을 넣는다. 코드를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int[] star..

자바에서 this 키워드는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는 것임 무슨 뜻일까? | this animal 클래스는 인스턴스 변수로 name과 typ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성자에서 매개변수로 name과 type을 받고 있는데, 이때 인스턴스 변수 name과 type을 구별하기 위해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 this 키워드를 사용함으로써 this.name 은 인스턴스 변수를 지칭하고, name은 받은 매개변수 그대로 매개변수 name을 지칭하게 된다. 만약 매개변수 name 값으로 spell가 들어온다면, 아무 값도 없는 인스턴스 변수 name에 spell라는 값이 들어가게 된다. | this() Animal이라는 생성자는 2개 있다. 생성자 1에서 this()를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 타입은 크게 4종류가 있다.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과 실수형의 변수는 타입이 여러개가 있는데 변수의 역할은 다 똑같고 크기 할당량만 다를 뿐이다. 표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보통 정수형은 int를 실수형은 float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규모가 큰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면 32bit가 넘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각 데이터 별로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으려고 시도한다면 당연히 에러가 날 것이다. class Testblo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byte a = 128; } } 정수형 byte 는 -128 ~ 127 까지 ..
- Total
- Today
- Yesterday
- 크롬브라우저
- 우클릭 방지
- 방문기록
- 탭복구
- 셀프개통
- 인터넷기록
- 한글인식
- 애드블록
- 배열선언
- 도망가는꿈
- 콜백함수
- 과일꿈
- 부모클래스
- 크롬
- 자식클래스
- 자급제폰
- 알뜰폰
- 자급제
- 자바
- 유튜브오류
- ASCII Code Table
- 직접유입
- 유튜브ID에러
- 티스토리
- 재생id
- 7일차
- 방문자수
- 1366
- 아스키코드표
- LinkedLis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